반응형
📷 사진을 찍는다고 생각해보자. 보통 우리는 카메라로 장면을 한 장 찍고 끝내지만, 플레놉틱 개념에서는 "빛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까지" 기록한다!
쉽게 말해!
💡 일반 카메라: "이곳에서 이런 색과 밝기의 빛이 감지되었다!"
💡 Plenoptic 카메라: "이 빛이 어디서 왔고,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도 안다!"
즉, 플레놉틱 함수는 공간 속 모든 위치에서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는 빛의 정보를 담는 함수야.
왜 중요해?
- 📸 사후 초점 조절 → 사진 찍은 후 초점을 조정 가능!
→ 📌 예: Lytro 카메라(찍고 나서 초점 바꾸는 카메라) - 🔄 3D 장면 재구성 → 촬영된 이미지에서 3D 모델 생성 가능
→ 📌 예: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기술 - 🏎 모션 블러 보정 → 동영상에서 흐려진 부분을 선명하게 복원
→ 📌 예: 스포츠 경기 영상 개선
쉽게 정리!
📷 일반 카메라: "이 장면을 저장했어!"
🔬 Plenoptic 카메라: "이 장면 + 빛의 방향까지 다 저장했어!"
👉 덕분에 초점 변경, 3D 효과, 영상 보정 등 다양한 기능이 가능! 😃
'전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트 필드(Light Field)란? (0) | 2025.03.21 |
---|---|
카메라가 사진이나 영상을 만드는 원리 (0) | 2025.03.21 |
plenoptic 함수 (0) | 2025.03.21 |
양자 역학 (Quantum Mechanics): 미시 세계의 법칙 (2) | 2024.10.28 |
맥스웰 방정식: 전자기 현상의 통합적 이해 (0) | 2024.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