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곡선 3

시장에서 누가 이득을 보는 걸까?

✅ 1. 시장에서 누가 이득을 보는 걸까?소비자는 “좀 더 싸게 사면 좋겠다”판매자는 “좀 더 비싸게 팔면 좋겠다”→ 그런데 정해진 시장 가격에서 거래가 일어나면👉 누가 얼마나 이득을 보는지를 계산해볼 수 있어!그걸 측정하는 개념이 바로:🎯 소비자 잉여(Consumer Surplus)🎯 생산자 잉여(Producer Surplus) 🛒 2. 소비자 잉여란?내가 이 정도까지는 돈 낼 의향이 있어 하는 가격→ 지불용의(Willingness to Pay)근데 실제로는 더 싸게 샀다면?→ 그만큼 이득을 본 거지! 🎯 쉬운 예시: 덕후들의 경매희귀한 엘비스 프레슬리 앨범이 하나 있음→ 아래 4명이 입찰하려고 함사람지불용의 (최대 낼 수 있는 돈)존100달러폴80달러조지60달러링고50달러→ 경매 결과, 앨범..

경제학 2025.03.24

독점이란?

💡 1. 독점이란?한 기업만 시장에 있어서, 혼자 가격을 정할 수 있는 시장!예:우리가 컴퓨터를 쓸 때 사용하는 윈도우(Windows)→ 거의 대부분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제품이지?→ 윈도우는 다른 대체재가 거의 없고,→ 마이크로소프트만 팔 수 있어!그래서 마이크로소프트는 가격을 **스스로 정할 수 있는 ‘가격 결정자’**야.(경쟁 시장에서는 ‘가격 수용자’였던 거 기억나지?) 🚪 2. 왜 독점이 생길까? (진입장벽 3가지)원인설명예시① 자원 독점한 기업이 중요한 자원을 독점마을에 우물이 하나 → 그걸 가진 사람만 물 팔 수 있어② 정부의 허가특허나 저작권 등으로 특정 기업만 허용제약회사가 신약 개발 → 특허로 몇 년간 혼자만 판매 가능③ 자연독점한 기업이 전부 공급하는 게 가장 효율적수..

경제학 2025.03.23

노동 수요곡선의 이동 – 왜 어떤 직종에서 사람을 더 뽑을까?

💼 노동 수요곡선의 이동 – 왜 어떤 직종에서 사람을 더 뽑을까?노동 수요는 **“사람을 더 뽑을까 말까?”**를 결정하는 기업의 선택이야.이 선택은 **노동자가 얼마나 많은 돈을 벌어줄 수 있느냐(=한계생산가치)**에 따라 달라져. 📈 1. 상품 가격이 오르면? → 사람 더 뽑는다!예:사과 1개가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올랐어!→ 그럼 사과 따는 사람이 100개 딸 수 있다면,→ 원래는 10만 원 벌게 해줬는데, 이제는 20만 원 벌게 해주는 셈이야!→ 기업 입장: "오! 저 사람 쓸 가치가 두 배로 늘었네?"→ 👉 사람을 더 뽑게 돼. 노동 수요 증가! ⚙️ 2. 기술이 발전하면? → 사람 한 명당 효율 증가!예:예전에는 사과를 하루 100개밖에 못 땄는데,전동 사다리나 자동 바구니가 ..

경제학 2025.03.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