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카메라가 사진이나 영상을 만드는 원리
카메라는 빛을 모아 이미지로 변환하는 장치야. 빛이 없으면 사진을 찍을 수 없는 것도 이 때문이야!
1️⃣ 빛이 들어온다 → (렌즈)
🔆 빛은 사물에서 반사되어 카메라로 들어가
- 주변 환경에서 태양, 전등 같은 광원에서 나온 빛이 물체에 반사돼
- 이 반사된 빛이 카메라 렌즈를 통해 내부로 들어옴
- 렌즈가 빛을 모아 초점을 맞춤
2️⃣ 센서(필름)에 빛이 닿는다 → (CCD/CMOS 센서)
🟢 필름 카메라 → 빛이 필름에 닿아 화학 반응으로 이미지가 저장됨
🟢 디지털 카메라 → 빛이 **이미지 센서(CCD/CMOS)**에 닿아 전기 신호로 변환됨
- 밝은 곳은 강한 신호, 어두운 곳은 약한 신호가 저장됨
- 색상 정보도 함께 기록됨
3️⃣ 이미지 변환 → (디지털 신호 처리)
💻 센서에서 받은 신호를 카메라가 처리해서 화면에 이미지로 보여줌
- 색 보정, 밝기 조정 등을 자동으로 함
- 동영상의 경우 이런 과정이 매초 수십~수백 번 반복됨 (예: 30FPS → 1초에 30장 촬영)
📌 쉽게 정리하면!
1️⃣ 빛이 사물에서 반사되어 카메라 렌즈로 들어온다
2️⃣ 이미지 센서(또는 필름)가 빛을 받아 저장한다
3️⃣ 카메라가 이 정보를 처리해서 사진이나 영상을 만든다
💡 즉, 카메라는 "빛을 기록해서 이미지로 변환하는 장치"야! 🎥📷✨
'전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트 필드와 벡터장의 관계 (0) | 2025.03.21 |
---|---|
라이트 필드(Light Field)란? (0) | 2025.03.21 |
Plenoptic 카메라와 일반카메라의 비교 (0) | 2025.03.21 |
plenoptic 함수 (0) | 2025.03.21 |
양자 역학 (Quantum Mechanics): 미시 세계의 법칙 (2)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