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46

정부가 왜 시장에 개입할까?

✅ 1. 정부가 왜 시장에 개입할까?정부는 종종 이런 생각을 해:“시장 가격이 너무 불공평한 것 같아!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가격을 낮추거나,노동자들을 위해 임금을 올려야겠어!”그래서 정부가 직접 가격을 정하는 정책을 펼치기도 해.이런 걸 **가격 통제(Price Control)**라고 해. 🧊 예시 1: 아이스크림 가격상한제🍦상황:아이스크림 하나 가격 = 3달러 (자연스러운 시장 균형)정부가 **“아이스크림 너무 비싸! 2달러로 제한하자!”**라고 함 💥무슨 일이 벌어질까?사람행동이유소비자“헐 싸다!” 하고 많이 사려고 함2달러는 저렴하니까생산자“이 가격엔 남는 게 없잖아...” 덜 만들거나 아예 안 팜원가도 안 나와서→ 수요는 많고, 공급은 적음 → 아이스크림 품귀현상!→ 줄 서야 하고, 몰래 웃..

경제학 2025.03.24

1. 생산자 잉여란?

✅ 1. 생산자 잉여란?내가 받아도 되는 최소 가격보다 더 비싸게 팔면?→ 그 차이만큼 생산자가 이득 본 거야!👉 그게 바로 생산자 잉여 (Producer Surplus) 🎯 예시: 페인트공 입찰어떤 집 주인이 도색 작업을 하려고 함네 명의 페인트공이 입찰함각자 “이 정도는 받아야 일할 수 있어요” 하는 최소 금액(=비용)이 다름페인트공일하려는 최소 금액(=비용)A300달러B400달러C500달러D600달러📌 그런데 낙찰 가격이 600달러로 결정되면?A는 300달러만 받아도 되는데 600달러 받음 → 생산자 잉여 = 300달러B는 400달러만 받아도 됐음 → 잉여 = 200달러C는 100달러, D는 0달러👉 이 모든 이득의 합이 총 생산자 잉여! 📈 2. 공급곡선과 생산자 잉여공급곡선 위의 점 =..

경제학 2025.03.24

시장에서 누가 이득을 보는 걸까?

✅ 1. 시장에서 누가 이득을 보는 걸까?소비자는 “좀 더 싸게 사면 좋겠다”판매자는 “좀 더 비싸게 팔면 좋겠다”→ 그런데 정해진 시장 가격에서 거래가 일어나면👉 누가 얼마나 이득을 보는지를 계산해볼 수 있어!그걸 측정하는 개념이 바로:🎯 소비자 잉여(Consumer Surplus)🎯 생산자 잉여(Producer Surplus) 🛒 2. 소비자 잉여란?내가 이 정도까지는 돈 낼 의향이 있어 하는 가격→ 지불용의(Willingness to Pay)근데 실제로는 더 싸게 샀다면?→ 그만큼 이득을 본 거지! 🎯 쉬운 예시: 덕후들의 경매희귀한 엘비스 프레슬리 앨범이 하나 있음→ 아래 4명이 입찰하려고 함사람지불용의 (최대 낼 수 있는 돈)존100달러폴80달러조지60달러링고50달러→ 경매 결과, 앨범..

경제학 2025.03.24

먼저, 이게 뭔 말일까?

🔍 먼저, 이게 뭔 말일까?핵심 질문 💡세금이 생기면 거래가 줄고, 그 줄어든 만큼 **자중손실(사회적 손해)**이 생긴다고 했지?근데 그 손해가 얼마나 커지는지는👉 **수요랑 공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느냐(=탄력성)**에 달려 있어! 🏃 1. 탄력성이 뭐야?가격이 조금만 변해도 사람들이 많이 사거나, 안 사거나 바뀌면→ 탄력적가격이 변해도 사람들이 그냥 계속 사는 경우면→ 비탄력적 🎯 예시: 생수 vs 명품 가방재화탄력성이유생수비탄력적목마르면 어쩔 수 없이 삼명품 가방탄력적비싸지면 안 삼, 다른 걸 삼 📦 2. 탄력성과 자중손실: 무슨 관계?세금이 생기면 가격이 오르거나 내려서 거래량이 줄지?이 줄어든 거래량이 많으면 → 자중손실이 크고줄어든 거래량이 적으면 → 자중손실이 작아! 🎯 예..

경제학 2025.03.24

세금은 왜 문제가 될까?

💡 1. 세금은 왜 문제가 될까?세금은 정부 입장에서 꼭 필요한 재원 조달 수단이야.도로, 경찰, 학교, 병원 등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걸 만들기 위해!그런데 문제는?세금이 부과되면 사람들의 행동이 바뀌어!→ 어떤 거래는 아예 사라져버리기도 해!→ 그래서 전체 경제적 이익이 줄어들 수 있어. 💥 2. ‘자중손실’이 뭐야?자중손실(deadweight loss)은세금 때문에 원래 서로에게 이득이 되는 거래가 사라져서사회 전체의 이익이 줄어드는 것이야. 🎯 쉬운 예시: 조와 제인의 청소 서비스제인은 집 청소를 누군가 대신해주면 최대 120달러까지 낼 생각이 있음조는 그 청소를 70달러만 받으면 충분히 하겠다고 함💰 이 거래는 서로 이득이지?제인: 깨끗한 집 + 만족조: 돈을 벌고 만족둘 다 윈윈! ?..

경제학 2025.03.24

관세와 수입 할당제, 이게 뭐야?

🎯 1. 관세와 수입 할당제, 이게 뭐야?용어쉽게 말하면예시관세수입품에 붙이는 세금“외국산 철강 1톤당 50달러 세금”수입 할당제수입 수량을 제한하는 제도“철강은 1년에 100만 톤까지만 수입 가능”두 방법 모두 외국 제품을 비싸게 만들어서,국내 제품을 보호하려는 목적이 있어! 🧲 2. 관세를 붙이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예시: 철강 수입에 관세 부과세계 철강 가격: 100달러아이솔랜드 관세 40달러 부과 → 수입 철강 가격: 140달러국내 철강 생산자: “오! 우리 것도 비싸게 팔 수 있네~”→ 국내 가격도 140달러로 상승 ⚖️ 결과누구?어떤 영향?✅ 국내 생산자가격 ↑ → 수익 증가 💰❌ 소비자비싸게 사서 손해 😢✅ 정부관세 수입 생김 💵❌ 경제 전체자중손실 발생 ⚠️ ❌ 자중손실(DW..

경제학 2025.03.24

국제 무역은 왜 할까?

🌍 1. 국제 무역은 왜 할까?핵심 이유는 👉 “각자 잘하는 걸 더 잘하고, 못하는 건 사고파는 게 이득이기 때문”이걸 경제학에서는 비교우위라고 해! 🎯 예시: 두 나라 비교하기나라잘하는 일A나라쌀 농사 잘함 (싸고 품질 좋게 생산 가능)B나라자동차 생산 잘함 (기술력, 생산성 높음)➡ A나라는 쌀 많이 생산해서 수출➡ B나라는 자동차 많이 만들어서 수출→ 서로 잘하는 거에 집중해서→ 서로 **필요한 건 교환(무역)**하면→ 둘 다 더 많은 이득을 볼 수 있어! 📦 2. 무역을 열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무역 개방 = 국경을 열고 수출입을 허용하는 것!이때 중요한 건:우리나라의 국내 가격과세계 시장의 세계 가격 비교하기! 🏭 3. 우리가 수출국이 되는 경우예: 우리나라에서 철강이 100원인데..

경제학 2025.03.24

외부효과는 소비에서도 생길 수 있어!

💡 외부효과는 소비에서도 생길 수 있어!종류무슨 뜻?예시✅ 긍정적 외부효과소비가 남에게도 좋은 영향을 줌내가 공부하면 사회 전체의 지식 수준이 올라감❌ 부정적 외부효과소비가 남에게 피해를 줌내가 술 먹고 운전하면 남에게 위험이 생김 🍷 1. 부정적 소비 외부효과: 술 마시고 운전누군가 술을 마셔 → 기분은 좋겠지만음주운전으로 사고 날 수도 있고,응급실, 경찰, 보험 비용 등 사회 전체가 피해를 입어 😨➡ 이 피해는 술 마신 사람이 직접 부담하지 않음🛠️ 해결 방법?정부가 술에 세금을 붙여서→ 소비를 줄이도록 유도!→ 술이 비싸지면, 마시는 사람도 줄어들고→ 사회적 피해도 줄어듦! 🎓 2. 긍정적 소비 외부효과: 교육받기내가 대학을 다녀서 지식이 많아지면→ 나만 좋은 게 아니라→ 주변 사람들, 회..

경제학 2025.03.24

외부효과란?

💡 외부효과란?어떤 사람이나 기업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데,그 대가를 주지도, 받지도 않을 때 생기는 효과야!종류설명예시부정적 외부효과남한테 피해를 주는데 보상은 안 함공장이 매연을 내뿜어 이웃이 병에 걸림긍정적 외부효과남한테 이득을 주는데 돈은 못 받음앞집 학생이 조용히 공부하니까 나도 집중 잘 됨 🏭 1. 부정적 외부효과: 공장과 환경오염🎯 예: 알루미늄 공장공장은 알루미늄을 만들면서 **공기 오염물질(예: 다이옥신)**을 내뿜어그로 인해 주변 사람들이 호흡기 질환에 걸려 😷➡ 공장은 제품을 싸게 만들었지만,→ 진짜 비용은 더 크다!(→ 생산자 비용 + 주변 사람 피해까지 합쳐야!)➡ 하지만 시장 가격엔 이 피해가 반영되지 않음→ 그래서 과잉 생산, 즉 너무 많이 만들게 됨 🛠️..

경제학 2025.03.24

공공재의 대표적인 예시들

🏛️ 1. 공공재의 대표적인 예시들공공재쉽게 말하면왜 공공재인가?국방외국의 공격으로부터 나라를 지켜주는 것누구 하나만 지켜주고, 누구는 안 지킬 수 없잖아!기초연구수학, 과학 등 기초 지식 발견누가 발견하든, 우리 모두가 써먹을 수 있어!빈곤 퇴치가난한 사람을 도와 살기 좋은 사회 만들기빈곤 없는 사회는 모두에게 이득인데, 누가 먼저 도울지는 애매해… 💡 왜 정부가 나서야 할까?무임승차 문제 때문이야!예:기초연구:기업이 “우리가 연구해서 남들만 써먹으면 손해잖아”→ 그래서 기초연구에 잘 안 투자함빈곤 퇴치:“다른 사람이 기부하겠지…” 하고 나 몰라라→ 아무도 안 도우면, 문제는 해결 안 됨➡ 그래서 정부가 세금으로 해결하는 거야!예: 기초과학 연구비 지원, 기초생활수급제도, 국가 복지 프로그램 등 ?..

경제학 2025.03.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