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독점적 경쟁시장? 그게 뭐야?

안전투자 달인 2025. 3. 23. 23:47
반응형

📚 1. 독점적 경쟁시장? 그게 뭐야?

예를 들어, 여행 가기 전에 책 한 권 고르려고 서점에 갔다고 해보자.

  • 미스터리, 로맨스, 스릴러, 에세이 등 종류가 엄청 많아!
  • 작가도 존 그리샴, 스티븐 킹, 다니엘 스틸 등 다양하지!
  • 그런데 가격은 다 비슷한데, 어떤 책이 더 끌리는지는 사람마다 달라.

이 시장은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성격을 둘 다 갖고 있어.


 

 🏪 2. 완전경쟁 같은 점 – 경쟁이 치열하다!

  • 책을 쓰는 작가나 출판사는 아주 많아.
  • 누구나 책을 써서 시장에 진입할 수 있어.
  • 소비자는 다양한 책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 이윤이 많이 생기면 다른 작가들도 뛰어들어 경쟁이 심해져.

자유로운 진입, 많은 경쟁자 = 완전경쟁시장 느낌!


 

🔒 3. 독점 같은 점 – 상품이 서로 다르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 같은 장르라도 책마다 다 달라. (표지, 문체, 주제, 작가 스타일 등)
  • 그래서 “나는 이 작가 책만 본다”는 사람도 많지!
  • 이 말은 **각 책(또는 작가)이 일종의 '독점'**을 하고 있다는 거야.

또 하나 중요한 점:

  • 책 값은 25달러인데, 책 한 권 더 찍는 데 드는 비용은 5달러도 안 돼.
  •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판사는 자유롭게 가격을 정해.
    → 이건 완전경쟁시장에서는 불가능하지!

→ 그래서 가격을 자기가 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분적인 독점’처럼 행동해.


 

📌 정리하자면, 독점적 경쟁시장이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상품을 파는 기업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면서도 어느 정도 가격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는 시장!

이런 시장은 실제로 많아:

  • 📚 책 시장
  • 🍝 식당 (같은 파스타라도 맛, 분위기, 셰프가 다 다르잖아!)
  • 🎬 영화
  • 🛋️ 가구
  • 🎵 음악 (가수마다 곡 스타일이 다르지)

 

📉 4. 단기에는 이익을 낼 수도, 손해를 볼 수도 있어

예를 들어:

  • 너가 책을 하나 썼는데 잘 팔려서 돈을 벌었어! (단기 이윤 👍)
  • 그러자 다른 작가들도 비슷한 책을 쓰기 시작해. → 그럼 내 책을 사려는 사람이 줄어들겠지? → 이걸 그래프에서는 수요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한다고 해.

반대로:

  • 만약 책이 안 팔려서 손해를 봤다면? (단기 손실 😢) → 손해 본 작가들이 “나 이제 안 써…” 하면서 시장에서 나가. → 그러면 남아 있는 작가들 책은 다시 좀 더 팔릴 수 있게 돼. → 수요곡선이 다시 오른쪽으로 이동

 

⏳ 5. 장기적으로는? 다 이윤 0이 된다!

  • 너무 잘 팔려도 경쟁자가 늘어서 이윤이 줄고
  • 너무 안 팔려도 경쟁자가 빠져나가서 손해가 줄어들고

결국에는…

  • 가격 = 평균비용
  • 즉, 이윤은 0이 되는 지점에서 균형이 생겨!

하지만 완전경쟁시장과는 다르게 여전히:

  • 가격 > 한계비용
    → 즉, 기업은 살짝 더 받긴 하지만, 이익은 없음!

 

✅ 한눈에 정리!

구분독점적 경쟁시장
상품 서로 비슷하지만 차별화되어 있음
기업 수 많음
진입/퇴출 자유로움
가격 결정 자율적 가격 결정 가능 (부분적인 독점)
장기 이윤 0 (이윤 발생 시 경쟁자 유입으로 사라짐)
예시 책, 식당, 영화, 의류, 음악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