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3 14

경쟁시장이란?

🛒 1. 경쟁시장이란?많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있고,파는 물건이 거의 똑같은 시장이야! 📍예를 들어: 주유소 vs 수도 회사주유소:가격이 갑자기 오르면?→ 소비자들: “딴 데 갈래요!”→ 👉 경쟁이 치열해서 가격을 마음대로 못 올려.수도 회사:가격이 올라도…→ 다른 회사로 못 바꾸지.→ 👉 경쟁이 거의 없으니 가격 통제가 가능.➡ 주유소는 경쟁시장, 수도는 독점시장이야! ✅ 2. 경쟁시장의 조건조건설명예시① 많은 판매자와 구매자특정 기업이 시장에 영향 못 미침우유, 당근, 쌀② 상품이 거의 동일함브랜드 차이가 거의 없음“우유는 우유지!”③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누구나 시작하고 그만둘 수 있음소규모 우유 농장도 진입 가능💸 3. 경쟁시장의 기업은 '가격 수용자'자기 마음대로 가격 못 정함!시장이 정한..

경제학 2025.03.23

독점이 왜 문제야?

💡 1. 독점이 왜 문제야?독점기업은 **가격을 마음대로 정할 수 있는 힘(시장 지배력)**이 있어.그래서 원가보다 비싸게 팔고, 적게 만들어도 괜찮아.예:어떤 마을에 딱 하나의 영화관이 있어.운영비는 한 사람당 5,000원인데,사람들은 1만 원까지는 낼 마음이 있어.그런데 영화관은 15,000원에 표를 팔아.→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비싸서 안 봐!” 하고 이용을 포기해.결과:볼 수 있었던 사람들 중 일부는 못 봐서 손해.영화관도 더 많은 사람을 받을 수 있었는데 손해.이처럼, 거래가 일어나지 않아 사회 전체가 손해를 보는 현상을→ **자중손실(deadweight loss)**이라고 해. 🧮 2. 독점기업이 이익을 보는 건 왜 큰 문제가 아니야?영화관이 비싸게 팔아서 돈을 많이 버는 것 자체는→ 소..

경제학 2025.03.23

독점이란?

💡 1. 독점이란?한 기업만 시장에 있어서, 혼자 가격을 정할 수 있는 시장!예:우리가 컴퓨터를 쓸 때 사용하는 윈도우(Windows)→ 거의 대부분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제품이지?→ 윈도우는 다른 대체재가 거의 없고,→ 마이크로소프트만 팔 수 있어!그래서 마이크로소프트는 가격을 **스스로 정할 수 있는 ‘가격 결정자’**야.(경쟁 시장에서는 ‘가격 수용자’였던 거 기억나지?) 🚪 2. 왜 독점이 생길까? (진입장벽 3가지)원인설명예시① 자원 독점한 기업이 중요한 자원을 독점마을에 우물이 하나 → 그걸 가진 사람만 물 팔 수 있어② 정부의 허가특허나 저작권 등으로 특정 기업만 허용제약회사가 신약 개발 → 특허로 몇 년간 혼자만 판매 가능③ 자연독점한 기업이 전부 공급하는 게 가장 효율적수..

경제학 2025.03.23

과점시장, 이게 뭐야?

과점시장, 이게 뭐야?예를 들어 테니스공을 사러 갔다고 해보자.브랜드를 보면?윌슨펜던롭스폴딩→ 거의 다 이 네 회사 제품이야!이런 시장처럼, 소수의 기업만 존재하는 시장을우리는 **과점시장(oligopoly)**이라고 불러. 🏷️ 2. 완전경쟁 vs 독점 vs 과점, 뭐가 달라?시장 형태기업 수가격 결정권예시완전경쟁시장엄청 많음없음 (가격수용자)당근, 쌀, 생수 등독점시장1개완전한 가격 결정자한국전력, 수도과점시장소수(2~10개 정도)일부 가격 결정력 있음테니스공, 통신사, 항공사 등→ 과점은 중간쯤에 있어.경쟁도 하고, 어느 정도는 가격도 조절할 수 있어. 🔁 3. 과점시장의 특징 – 협력할까? 경쟁할까?과점시장에 있는 기업들은 미묘한 관계에 있어.협력하면: 서로 가격을 올리고, 생산량 줄여서 이익..

경제학 2025.03.23

독점적 경쟁시장? 그게 뭐야?

📚 1. 독점적 경쟁시장? 그게 뭐야?예를 들어, 여행 가기 전에 책 한 권 고르려고 서점에 갔다고 해보자.미스터리, 로맨스, 스릴러, 에세이 등 종류가 엄청 많아!작가도 존 그리샴, 스티븐 킹, 다니엘 스틸 등 다양하지!그런데 가격은 다 비슷한데, 어떤 책이 더 끌리는지는 사람마다 달라.이 시장은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성격을 둘 다 갖고 있어.  🏪 2. 완전경쟁 같은 점 – 경쟁이 치열하다!책을 쓰는 작가나 출판사는 아주 많아.누구나 책을 써서 시장에 진입할 수 있어.소비자는 다양한 책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이윤이 많이 생기면 다른 작가들도 뛰어들어 경쟁이 심해져.→ 자유로운 진입, 많은 경쟁자 = 완전경쟁시장 느낌! 🔒 3. 독점 같은 점 – 상품이 서로 다르다!하지만 자세히 보..

경제학 2025.03.23

노동 수요곡선의 이동 – 왜 어떤 직종에서 사람을 더 뽑을까?

💼 노동 수요곡선의 이동 – 왜 어떤 직종에서 사람을 더 뽑을까?노동 수요는 **“사람을 더 뽑을까 말까?”**를 결정하는 기업의 선택이야.이 선택은 **노동자가 얼마나 많은 돈을 벌어줄 수 있느냐(=한계생산가치)**에 따라 달라져. 📈 1. 상품 가격이 오르면? → 사람 더 뽑는다!예:사과 1개가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올랐어!→ 그럼 사과 따는 사람이 100개 딸 수 있다면,→ 원래는 10만 원 벌게 해줬는데, 이제는 20만 원 벌게 해주는 셈이야!→ 기업 입장: "오! 저 사람 쓸 가치가 두 배로 늘었네?"→ 👉 사람을 더 뽑게 돼. 노동 수요 증가! ⚙️ 2. 기술이 발전하면? → 사람 한 명당 효율 증가!예:예전에는 사과를 하루 100개밖에 못 땄는데,전동 사다리나 자동 바구니가 ..

경제학 2025.03.23

생산요소 시장이란?

💡 생산요소 시장이란?우리가 학교를 졸업하고 일자리를 고를 때,그 **직업이 바로 소득(월급)**을 결정하게 돼.예를 들어:컴퓨터 프로그래머는 연봉 5천만 원주유소 직원은 연봉 2천만 원왜 이런 차이가 나는 걸까? 법으로 정해진 것도 아니고, 도덕적으로도 ‘이게 맞다!’고 정해진 건 아니잖아?그 이유는 바로 ‘수요와 공급’의 법칙 때문이야. 🧱 생산요소란?경제학에서는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자원들을 생산요소라고 불러.예:노동(사람의 일)토지(땅, 공간)자본(기계, 돈, 공장 등)이 자원들은 그냥 존재하는 게 아니라,기업이 필요로 해서 '사서 쓰는' 대상이야. 🔁 생산요소의 수요는 파생 수요!이게 무슨 말이냐면…예:소프트웨어 회사는 컴퓨터 프로그래머를 왜 고용할까?→ 프로그래머가 만드는 소프트웨..

경제학 2025.03.23

💡 왜 사람마다 월급이 다를까?

💡 왜 사람마다 월급이 다를까?우리가 벌어들이는 **임금(소득)**은 아래 세 가지에 크게 영향을 받아:1️⃣ 타고난 능력 – 재능이 다르다!예를 들어:프로야구 선수는 마이너리그 선수보다 훨씬 높은 연봉을 받아.그 이유는 경험이 많아서가 아니라,애초에 타고난 실력이 뛰어난 사람들만 프로까지 올라오기 때문이야.→ 운동, 음악, 예술처럼 재능이 큰 역할을 하는 분야에서는타고난 능력이 임금을 좌우하기도 해.2️⃣ 개인의 노력 –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열심히 일하는 사람은 보통 더 많은 일을 잘 해내고,그래서 생산성이 높아져 → 결국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어.예:같은 직장에 다니더라도,책임감 있게 일하고, 성과도 좋은 사람은승진이나 인센티브를 받을 확률이 높지!3️⃣ 운 – 예측할 수 없는 변수운도 정말 중요..

경제학 2025.03.23

왜 사람마다 임금(월급)이 이렇게 다를까?

💵 왜 사람마다 임금(월급)이 이렇게 다를까?예를 들어보자:의사는 연봉 약 2억 5천만 원경찰관은 약 6천만 원농장 일꾼은 약 2천5백만 원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단순히 “운”이 아니라, 경제학적으로 몇 가지 합리적인 이유가 있어! 1️⃣ 수요와 공급의 법칙 – 누구나 원하면 월급은 낮아진다!경제학에서는 일자리를 시장처럼 생각해.어떤 일이 **필요한 사람(수요)**이 많고**그 일을 할 수 있는 사람(공급)**이 적다면→ 임금이 높아져!예:의사는 공부도 오래 하고, 시험도 어렵고, 할 수 있는 사람이 적어.→ 수요는 많은데 공급은 적으니까 연봉이 높지!반면,누구나 할 수 있는 단순노동은 공급이 많아.→ 그러면 월급이 낮아질 수밖에 없어. 2️⃣ 보상적 임금 격차 – 일하기 힘든 직업은 돈을 더 줘야..

경제학 2025.03.23

소득 재분배, 왜 다르게 생각할까?

💭 소득 재분배, 왜 다르게 생각할까?사람들은 모두가 부자가 아니고, 소득이 다 다르지.그럼 “정부가 돈을 다시 나눠주는 게 옳은가?”라는 질문이 생겨.이건 단순한 숫자 계산이 아니라, 어떤 사회가 공정하냐에 대한 철학적 판단이야.⚖️ 1. 공리주의 (Utilitarianism)→ “전체 행복을 가장 크게 하자!”이 철학은 이렇게 생각해:부자한테 1만 원을 더 주는 것보다,가난한 사람에게 1만 원을 주는 게 행복을 더 많이 만든다!예를 들어:부자는 이미 1억 원 있어.가난한 사람은 만 원도 없어.→ 이럴 때 가난한 사람한테 돈을 주면 행복이 훨씬 더 커지지!그래서 일정 수준까지는 소득을 나누는 게 좋다고 해.하지만 너무 평등하게 만들면 사람들이 열심히 일할 동기가 사라지니까완벽한 평등은 반대야.🧑‍⚖..

경제학 2025.03.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