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시장에서 누가 이득을 보는 걸까?
- 소비자는 “좀 더 싸게 사면 좋겠다”
- 판매자는 “좀 더 비싸게 팔면 좋겠다”
→ 그런데 정해진 시장 가격에서 거래가 일어나면
👉 누가 얼마나 이득을 보는지를 계산해볼 수 있어!
그걸 측정하는 개념이 바로:
🎯 소비자 잉여(Consumer Surplus)
🎯 생산자 잉여(Producer Surplus)
🛒 2. 소비자 잉여란?
내가 이 정도까지는 돈 낼 의향이 있어 하는 가격
→ 지불용의(Willingness to Pay)
근데 실제로는 더 싸게 샀다면?
→ 그만큼 이득을 본 거지!
🎯 쉬운 예시: 덕후들의 경매
희귀한 엘비스 프레슬리 앨범이 하나 있음
→ 아래 4명이 입찰하려고 함
사람지불용의 (최대 낼 수 있는 돈)
존 | 100달러 |
폴 | 80달러 |
조지 | 60달러 |
링고 | 50달러 |
→ 경매 결과, 앨범 가격이 80달러에 낙찰!
존이 낙찰 받음 (100달러까지 낼 생각이었음)
👉 실제로는 80달러만 냈지?
→ 그러면 소비자 잉여 = 100 - 80 = 20달러 🎉
즉, 존은 이 거래에서 20달러어치의 심리적 만족감을 얻은 거야!
📈 3. 그래프로 본 소비자 잉여
- 수요곡선 = 각 가격에 대해 얼마나 사고 싶어 하는지를 나타냄
- 시장 가격보다 위에 있는 면적 = 소비자 잉여 총합
🎯 다시 말해:
“내가 이 정도는 낼 수 있는데, 실제로는 더 싸게 샀다!”
→ 그 차이만큼 이득!
🏷️ 4. 다른 예시 – 마트에서 칠면조 사기
- 명절 때 마트에 칠면조를 사러 간다고 해보자
소비자최대 지불용의마트 실제 가격소비자 잉여
수진 | 50,000원 | 40,000원 | 10,000원 |
민수 | 45,000원 | 40,000원 | 5,000원 |
나연 | 35,000원 | 40,000원 | ❌ 안 삼 (거래 없음) |
→ 40,000원보다 높게 부를 수 있었던 사람들만 이득을 얻고 구매함
→ 그 사람들이 얻는 이득의 총합이 소비자 잉여!
🎯 소비자 잉여 요약
항목설명
지불용의 | “내가 이 정도까지는 낼 수 있어요” |
실제 가격 | 시장에서 정해진 판매 가격 |
소비자 잉여 | 지불용의 - 실제 가격 |
의미 | 소비자가 “싸게 사서 얻는 이득” |
🧠 + 하나 더! 왜 이게 중요할까?
경제학에서는 시장이 잘 작동하면
→ **전체 사람들의 후생(행복, 이득)**이 커진다고 봐!
그래서 우리는 시장에서 누가 얼마만큼 이득을 보는지를 계산하고
그 결과가 사회 전체에 좋은지를 따져보는 거야
→ 그게 바로 후생 경제학이야!
🎁 한 줄 요약:
“소비자 잉여는 싸게 사서 얻는 기쁨이에요.
내가 낼 수 있는 금액보다 더 싸게 샀다면, 그만큼 내가 이득을 본 거예요!”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가 왜 시장에 개입할까? (0) | 2025.03.24 |
---|---|
1. 생산자 잉여란? (0) | 2025.03.24 |
먼저, 이게 뭔 말일까? (0) | 2025.03.24 |
세금은 왜 문제가 될까? (0) | 2025.03.24 |
관세와 수입 할당제, 이게 뭐야?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