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공공재의 대표적인 예시들
공공재쉽게 말하면왜 공공재인가?
국방 | 외국의 공격으로부터 나라를 지켜주는 것 | 누구 하나만 지켜주고, 누구는 안 지킬 수 없잖아! |
기초연구 | 수학, 과학 등 기초 지식 발견 | 누가 발견하든, 우리 모두가 써먹을 수 있어! |
빈곤 퇴치 | 가난한 사람을 도와 살기 좋은 사회 만들기 | 빈곤 없는 사회는 모두에게 이득인데, 누가 먼저 도울지는 애매해… |
💡 왜 정부가 나서야 할까?
무임승차 문제 때문이야!
예:
- 기초연구:
기업이 “우리가 연구해서 남들만 써먹으면 손해잖아”
→ 그래서 기초연구에 잘 안 투자함 - 빈곤 퇴치:
“다른 사람이 기부하겠지…” 하고 나 몰라라
→ 아무도 안 도우면, 문제는 해결 안 됨
➡ 그래서 정부가 세금으로 해결하는 거야!
예: 기초과학 연구비 지원, 기초생활수급제도, 국가 복지 프로그램 등
🐑 2. 공유자원의 예: 공유지의 비극
🎯 예시: 마을의 공용 목초지
- 마을 사람 누구나 양을 데려와 풀을 먹이는데,
- 사람마다 “나도 양 한 마리 더 키워야지!”
→ 결과: 너무 많은 양이 풀을 먹어서 초지가 황폐화됨 😢
이런 식으로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해서 모두가 손해 보는 걸
→ **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the commons)**이라고 해!
🌍 일상에서 볼 수 있는 공유자원 예시
공유자원쉽게 설명문제점
깨끗한 공기 | 다 같이 숨 쉬는 공기 | 공장들이 막 배출하면 공기 오염 |
바다의 물고기 | 바다엔 경계가 없지… | “나만 좀 더 잡자!” → 물고기 씨 말라 |
혼잡한 도로 | 공짜지만 차가 몰림 | “나도 차 끌래!” → 결국 모두가 정체 속에 갇힘 |
지하의 석유 | 여러 나라가 같이 뽑는 경우 | 막 뽑다 보면 고갈됨 |
🛠️ 3. 정부는 어떻게 해결할까?
해결 방법예시
사용 규제 | 낚시 허가제, 차량 운행 제한 |
세금 부과 | 환경세, 혼잡 통행료 |
사적 소유로 전환 | 공용 목초지를 나눠서 각자 관리하게 함 |
시장 도입 | 탄소 배출권 거래제 → 기업이 "공기 오염권"을 사고팔 수 있게 함 |
🧾 4. 결론: 재산권이 중요하다!
문제는, “이 자원은 누구 거야?”가 불분명하다는 것!
- 공기, 국방, 기초연구…
→ 다 같이 쓰는 거지만 개인 소유가 아니라서 투자 유인이 없음
✅ 그래서 정부가 나서서:
- 공공재는 직접 제공하고,
- 공유자원은 규제·시장화·사유화해서
- 자원이 낭비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해!
✅ 핵심 요약표
개념설명예시
공공재 | 배제X, 경합X → 공짜로 다 같이 쓰는 재화 | 국방, 불꽃놀이, 기초연구 |
무임승차 | 돈은 안 내고 혜택만 누리는 사람 | 빈곤 퇴치, 공공서비스 |
공유자원 | 배제X, 경합O → 과잉사용 위험 | 바다 물고기, 공기, 도로 |
공유지의 비극 | 자원을 너무 써서 다 망가짐 | 마을 초지 황폐화, 과잉 어획 |
해결책 | 정부가 개입해 자원 낭비 방지 | 규제, 세금, 소유권 설정, 시장제 도입 |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부효과는 소비에서도 생길 수 있어! (0) | 2025.03.24 |
---|---|
외부효과란? (0) | 2025.03.24 |
재화의 네 가지 종류 –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눠볼 수 있어! (0) | 2025.03.24 |
1. 세금은 왜 내야 할까? (0) | 2025.03.24 |
1. 총비용 = 고정비용 + 가변비용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