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외부효과는 소비에서도 생길 수 있어!

안전투자 달인 2025. 3. 24. 00:19
반응형

💡 외부효과는 소비에서도 생길 수 있어!

종류무슨 뜻?예시
긍정적 외부효과 소비가 남에게도 좋은 영향을 줌 내가 공부하면 사회 전체의 지식 수준이 올라감
부정적 외부효과 소비가 남에게 피해를 줌 내가 술 먹고 운전하면 남에게 위험이 생김

 

🍷 1. 부정적 소비 외부효과: 술 마시고 운전

  • 누군가 술을 마셔 → 기분은 좋겠지만
  • 음주운전으로 사고 날 수도 있고,
  • 응급실, 경찰, 보험 비용 등 사회 전체가 피해를 입어 😨

➡ 이 피해는 술 마신 사람이 직접 부담하지 않음

🛠️ 해결 방법?

정부가 술에 세금을 붙여서
소비를 줄이도록 유도!

→ 술이 비싸지면, 마시는 사람도 줄어들고
→ 사회적 피해도 줄어듦!


 

🎓 2. 긍정적 소비 외부효과: 교육받기

  • 내가 대학을 다녀서 지식이 많아지면
    → 나만 좋은 게 아니라
    → 주변 사람들, 회사, 사회도 간접적으로 이득을 봐!

예:
→ 똑똑한 사람이 많아지면
민주주의도 건강해지고, 경제도 발전하고, 범죄율도 낮아질 수 있음

🛠️ 해결 방법?

정부가 장학금, 공교육, 교육비 보조금으로
교육 소비를 장려함!


 

🧑‍🤝‍🧑 3. 꼭 정부만 해결할 수 있을까? 👉 아니!

때때로 민간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어!

🎯 예시: 벌 키우는 사람 🐝 & 사과농장 🍎

  • 벌은 사과꽃을 수분시켜서 농사에 도움 줘
  • 사과농장은 벌에게 꿀을 만들 수 있는 꽃을 제공해

→ 서로 도움이 되는 관계인데, 따로 운영하면 외부효과가 그냥 흘러가

🧩 해결 방법:

  • 서로 계약을 맺거나 → “내 벌들이 당신 과수원 도와줄게요”
  • 아예 하나의 기업으로 합치면 → 이득을 최대로 누릴 수 있음!

 

📜 4. 코즈 정리(Coase Theorem)

경제학자 로널드 코즈는 이렇게 말했어:

협상이 자유롭고 비용이 안 든다면,
누가 피해를 받았든 간에
→ 사람들끼리 협상해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

 

🎯 예시:

  • 당신 집에서 강아지가 계속 짖음 🐶
  • 옆집 사람이 잠을 못 잠 😵

→ 둘이 이야기해서
→ “내가 방음 시설 설치할게요” 또는 “당신이 방해받은 만큼 보상해줄게요”
→ 이렇게 합의하면 정부 없이도 해결 가능!

하지만 문제는?

  • 현실에서는 협상 비용이 큼
  • 이해당사자가 많으면 누구랑 얘기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 그래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 5. 정부가 외부효과를 해결하는 방법들

방법설명예시
직접 규제 법으로 금지하거나 허용량 정함 공장 배출물 제한, 금연구역 지정
피구세 (Pigovian Tax) 오염·피해 유발자에게 세금 부과 공장 매연세, 탄소세, 담배세
보조금 지급 사회에 좋은 걸 하면 지원금 주기 교육 보조금, 백신 장려금
오염 배출권 거래제 오염할 수 있는 “권리”를 사고팔게 함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

➡ 이 방식들은 시장의 힘을 이용하면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서 점점 더 선호되고 있어!


 

✅ 핵심 요약표

항목설명예시
부정적 소비 외부효과 소비가 남에게 피해 줌 음주운전, 흡연
긍정적 소비 외부효과 소비가 남에게 이득 줌 교육, 백신 접종
외부효과의 내부화 피해·이득을 시장에 반영함 세금·보조금·협상
코즈 정리 협상만 잘 되면 정부 개입 없이 해결 가능 강아지 짖음, 농장 간 계약
정부의 개입 방식 규제, 세금, 보조금, 배출권 등 환경세, 장학금, 오염권 시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