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관세와 수입 할당제, 이게 뭐야?
용어쉽게 말하면예시
관세 | 수입품에 붙이는 세금 | “외국산 철강 1톤당 50달러 세금” |
수입 할당제 | 수입 수량을 제한하는 제도 | “철강은 1년에 100만 톤까지만 수입 가능” |
두 방법 모두 외국 제품을 비싸게 만들어서,
국내 제품을 보호하려는 목적이 있어!
🧲 2. 관세를 붙이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 예시: 철강 수입에 관세 부과
- 세계 철강 가격: 100달러
- 아이솔랜드 관세 40달러 부과 → 수입 철강 가격: 140달러
- 국내 철강 생산자: “오! 우리 것도 비싸게 팔 수 있네~”
→ 국내 가격도 140달러로 상승
⚖️ 결과
누구?어떤 영향?
✅ 국내 생산자 | 가격 ↑ → 수익 증가 💰 |
❌ 소비자 | 비싸게 사서 손해 😢 |
✅ 정부 | 관세 수입 생김 💵 |
❌ 경제 전체 | 자중손실 발생 ⚠️ |
❌ 자중손실(DWL)이 뭐야?
경제 전체가 잃어버린 가치야!
- 국내에서 굳이 비효율적인 생산이 생김 → 원가가 더 드는 철강을 만듦
- 소비자들이 가격 때문에 구매를 줄임 → 필요한 사람도 못 삼
→ 이 두 가지 때문에 **전체 후생(이익)**이 줄어들어 😢
📦 3. 수입 할당제는 어떻게 다를까?
수입량 자체를 제한하는 방법이야
예: “철강은 1년에 딱 100만 톤까지만 수입 가능!”
- 수입 제한 → 국내 공급이 줄어듦
- → 수요는 그대로 → 국내 가격이 오른다!
⚖️ 결과는 관세와 비슷하지만…
- 소비자 손해, 생산자 이익, 자중손실은 똑같이 발생
- 차이점: 수입허가 받은 사람이 이득을 독식함
- (정부가 허가권을 공짜로 주는 경우 많음)
➡ 만약 정부가 이 허가권을 경매로 팔면 관세처럼 수익이 생기지만,
현실에선 로비, 특혜 등 정치적 문제가 생기기 쉬움 🙄
📣 4. 무역 규제에 대한 주장들 (찬성 vs 반대)
🛡️ 무역 규제를 주장하는 사람들:
주장쉽게 설명
“일자리 보호” | 싸게 수입하면 국내 공장 문 닫을 수도 있다! |
“국가 안보” | 군사용 물자 등은 외국에 의존하면 위험해 |
“유치산업 보호” | 갓 시작한 산업은 경쟁력이 약하니 일단 보호 필요 |
“상대국 견제용” | 외국이 불공정하게 보조금 주면 우리도 막아야 함 |
📉 경제학자들이 반대하는 이유:
이유설명
“일자리, 다른 데서 생겨요” | 수입 줄이면 소비가 늘고, 그 분야에서 새 일자리 생김 |
“유치산업 보호? 누가 정해요?” | 정치적 판단에 의존하면 비효율이 큼 |
“싼 제품 = 소비자 이득” | 외국이 보조금 줘서 싼 물건 수출하면 우리 소비자는 득! |
“협상용 규제는 자충수” | 상대국이 안 물러서면 우리만 손해볼 수도 있음 |
✅ 결론 요약
항목관세수입 할당제
공통점 | 가격 ↑, 소비자 손해, 생산자 이득, 자중손실 발생 | |
차이점 | 정부가 세금 수입을 얻음 | 수입허가권 가진 사람이 이득 (정부 수익 없음) |
경제 전체 | 후생 감소, 비효율 발생 | |
정치적 현실 | 국내 산업 보호 요구는 많지만, 장기적으로는 득보다 실이 클 수 있음 |
🎁 한 줄 요약:
“무역 규제는 일부를 보호하지만, 전체 국민의 이익은 줄어들 수 있다.
그래서 경제학자들은 무역 자유화가 국가 전체에 이롭다고 말해요.”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먼저, 이게 뭔 말일까? (0) | 2025.03.24 |
---|---|
세금은 왜 문제가 될까? (0) | 2025.03.24 |
국제 무역은 왜 할까? (0) | 2025.03.24 |
외부효과는 소비에서도 생길 수 있어! (0) | 2025.03.24 |
외부효과란?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