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먼저, 이게 뭔 말일까?

안전투자 달인 2025. 3. 24. 00:28
반응형

🔍 먼저, 이게 뭔 말일까?

핵심 질문 💡

세금이 생기면 거래가 줄고, 그 줄어든 만큼 **자중손실(사회적 손해)**이 생긴다고 했지?

근데 그 손해가 얼마나 커지는지는
👉 **수요랑 공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느냐(=탄력성)**에 달려 있어!


 

🏃 1. 탄력성이 뭐야?

가격이 조금만 변해도 사람들이 많이 사거나, 안 사거나 바뀌면
탄력적

가격이 변해도 사람들이 그냥 계속 사는 경우면
비탄력적


 

🎯 예시: 생수 vs 명품 가방

재화탄력성이유
생수 비탄력적 목마르면 어쩔 수 없이 삼
명품 가방 탄력적 비싸지면 안 삼, 다른 걸 삼

 

📦 2. 탄력성과 자중손실: 무슨 관계?

세금이 생기면 가격이 오르거나 내려서 거래량이 줄지?
이 줄어든 거래량이 많으면 → 자중손실이 크고
줄어든 거래량이 적으면 → 자중손실이 작아!


 

🎯 예시 비교

📌 ① 비탄력적인 상품에 세금 (예: 생수에 1,000원 세금)

  • 소비자: "비싸도 어쩔 수 없이 마셔야지…"
    거래량 거의 안 줄어듦자중손실 작음

📌 ② 탄력적인 상품에 세금 (예: 명품 가방에 10만 원 세금)

  • 소비자: "에이, 안 사거나 중고로 사야지!"
    거래량 많이 줄어듦자중손실 큼!

💸 3. 세금의 크기와 자중손실은 어떤 관계?

세금이 조금만 붙으면 거래가 별로 줄지 않지만,
세금이 크면 클수록 거래가 훨씬 더 많이 줄어들어!


 

🎯 예시: 피자 한 판에 붙는 세금

세금결과
500원 가격 살짝 오름 → 거래 거의 유지 → 자중손실 작음
5,000원 “에이, 라면이나 끓여 먹자” → 거래 뚝 줄어듦 → 자중손실 큼

 

📈 4. 세금이 커질수록 세금 수입도 계속 늘까?

아니야! 어느 순간부터는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어!

→ 이걸 설명하는 게 바로 **“라퍼 곡선(Laffer curve)”**이야


 

🎯 예시: 나라에서 소득세율을 계속 올릴 때

세율일어나는 일
20% 사람들이 열심히 일하고, 나라에 세금도 많이 냄
60% “일해도 남는 게 없네…” → 일 안 하거나 탈세 시도
세금 수입 줄어듦!  

➡ 세율이 너무 높아지면 거래 자체가 줄어
→ 결과적으로 세입도 줄고, 자중손실은 커짐


 

✅ 핵심 요약

개념쉬운 설명예시
탄력성 가격 변화에 민감한 정도 생수(비탄력), 명품(탄력)
자중손실 세금 때문에 거래가 줄면서 생긴 사회적 손해 “원래 사려던 사람이 안 사게 됨”
세금이 클수록 거래가 더 많이 줄고 자중손실이 급격히 커짐 피자 세금 500원 vs 5,000원
세율 높이면 처음엔 세입↑, 너무 높으면 오히려 세입↓ 라퍼 곡선, 공급측 경제학 논쟁

 

🎁 한 줄 요약:

“세금은 꼭 필요하지만, 너무 크거나 잘못된 곳에 붙이면
→ **경제 전체에 손해(자중손실)**를 줄 수 있어요.
→ 그래서 세금은 신중하게 설계해야 해요!”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생산자 잉여란?  (0) 2025.03.24
시장에서 누가 이득을 보는 걸까?  (0) 2025.03.24
세금은 왜 문제가 될까?  (0) 2025.03.24
관세와 수입 할당제, 이게 뭐야?  (0) 2025.03.24
국제 무역은 왜 할까?  (0)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