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46

재화의 네 가지 종류 –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눠볼 수 있어!

🌎 1. 재화의 네 가지 종류 –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눠볼 수 있어!| 기준1: 배제성 | 누가 쓸지 막을 수 있는가? | | 기준2: 경합성 | 여럿이 같이 쓰면 양이 줄어드는가? |이걸로 재화를 4가지로 나눌 수 있어!재화 종류배제성경합성예시사적 재화OO아이스크림, 옷, 햄버거공공재XX불꽃놀이, 국방, 거리의 조명공유자원XO바다의 물고기, 공원 벤치, 숲자연독점재OX수도, 전기, 케이블 TV 🎆 2. 공공재의 대표 예: 불꽃놀이배제성 없음:→ 돈 안 냈다고 해서 “당신은 못 봐요!” 할 수 없음경합성 없음:→ 내가 본다고 해서 옆사람이 못 보는 것도 아님➡ 그래서 누구나 공짜로 즐김→ 이게 바로 공공재! 🕴️ 3. 무임승차(free rider) 문제란?“나는 돈 안 낼래~ 그냥 공짜로 볼래!”불..

경제학 2025.03.24

1. 세금은 왜 내야 할까?

💡 1. 세금은 왜 내야 할까?정부가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을 제공하려면 돈이 필요해.→ 그래서 세금을 걷는 것이야!🎯 예:우리가 매일 이용하는 도로, 학교, 경찰, 소방서, 병원→ 전부 세금으로 운영돼!세금 없으면?→ 거리도 안 닦이고, 학교도 못 다니고, 경찰도 없음… 😱 💰 2. 미국 사람들이 내는 세금 종류세금 이름누구한테, 어떻게 걷는가?사용 용도개인소득세개인이 돈을 벌면 거기서 냄전체 정부 세금 중 제일 많음급여세 (사회보험세)월급에서 일정 % 자동으로 빠짐연금, 의료보험 등 사회보장에 사용법인세회사가 이익을 내면 부과됨기업 수익에 대한 세금판매세물건 살 때 계산서에 추가되는 세금(보통 주정부가 걷음)재산세집이나 땅 소유하면 매년 냄동네 학교, 경찰, 소방서 운영에 사용   3. 정부는 ..

경제학 2025.03.24

1. 총비용 = 고정비용 + 가변비용

💰 1. 총비용 = 고정비용 + 가변비용🏭 예: 쿠키 공장을 운영하는 사장님 헬렌고정비용:→ 무조건 나가는 돈! 생산을 하든 말든 꼭 드는 비용예: 공장 임대료, 월급 받는 정직원 급여가변비용:→ 많이 만들수록 더 많이 드는 비용예: 밀가루, 설탕, 시간제 알바비➡ 총비용 = 고정비용 + 가변비용 📊 2. 평균비용이란?생산 1개당 평균적으로 얼마나 돈이 드는지 보는 것!용어계산법예시평균총비용 (ATC)총비용 ÷ 생산량1,000개 생산에 10,000달러 들었으면 → 10달러평균고정비용 (AFC)고정비용 ÷ 생산량임대료 5,000달러 / 1,000개 = 5달러평균가변비용 (AVC)가변비용 ÷ 생산량원재료비 5,000달러 / 1,000개 = 5달러👉 ATC = AFC + AVC 📉 평균총비용 곡선은 ..

경제학 2025.03.24

1. 기업은 왜 돈을 쓰면서 물건을 만들어?

💰 1. 기업은 왜 돈을 쓰면서 물건을 만들어?기업은 이윤을 벌기 위해 물건이나 서비스를 만들어.즉,이윤 = 총수입 – 총비용총수입: 물건 팔아서 번 돈예: 과자 1,000개 × 개당 2달러 = 2,000달러총비용: 과자를 만드는 데 쓴 모든 돈 💸 2. 총비용에는 어떤 게 들어가?경제학에서는 두 가지 비용을 구분해! ✅ ① 명시적 비용 (진짜로 돈 나간 것)밀가루 산 돈직원 월급전기세, 임대료 등→ 회계사도 이건 기록해! ✅ ② 암묵적 비용 (눈에 안 보이는 기회비용)"이걸 하느라 다른 걸 못 해서 생긴 손해"예를 들어 헬렌이라는 사람이 과자 가게를 운영한다고 해보자:헬렌이 컴퓨터 프로그래머였다면 시간당 100달러 벌 수 있었어.→ 하지만 지금은 과자 가게에 시간 다 쓰고 있으니까,→ 이 포기한 수..

경제학 2025.03.24

경쟁시장이란?

🛒 1. 경쟁시장이란?많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있고,파는 물건이 거의 똑같은 시장이야! 📍예를 들어: 주유소 vs 수도 회사주유소:가격이 갑자기 오르면?→ 소비자들: “딴 데 갈래요!”→ 👉 경쟁이 치열해서 가격을 마음대로 못 올려.수도 회사:가격이 올라도…→ 다른 회사로 못 바꾸지.→ 👉 경쟁이 거의 없으니 가격 통제가 가능.➡ 주유소는 경쟁시장, 수도는 독점시장이야! ✅ 2. 경쟁시장의 조건조건설명예시① 많은 판매자와 구매자특정 기업이 시장에 영향 못 미침우유, 당근, 쌀② 상품이 거의 동일함브랜드 차이가 거의 없음“우유는 우유지!”③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누구나 시작하고 그만둘 수 있음소규모 우유 농장도 진입 가능💸 3. 경쟁시장의 기업은 '가격 수용자'자기 마음대로 가격 못 정함!시장이 정한..

경제학 2025.03.23

독점이 왜 문제야?

💡 1. 독점이 왜 문제야?독점기업은 **가격을 마음대로 정할 수 있는 힘(시장 지배력)**이 있어.그래서 원가보다 비싸게 팔고, 적게 만들어도 괜찮아.예:어떤 마을에 딱 하나의 영화관이 있어.운영비는 한 사람당 5,000원인데,사람들은 1만 원까지는 낼 마음이 있어.그런데 영화관은 15,000원에 표를 팔아.→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비싸서 안 봐!” 하고 이용을 포기해.결과:볼 수 있었던 사람들 중 일부는 못 봐서 손해.영화관도 더 많은 사람을 받을 수 있었는데 손해.이처럼, 거래가 일어나지 않아 사회 전체가 손해를 보는 현상을→ **자중손실(deadweight loss)**이라고 해. 🧮 2. 독점기업이 이익을 보는 건 왜 큰 문제가 아니야?영화관이 비싸게 팔아서 돈을 많이 버는 것 자체는→ 소..

경제학 2025.03.23

독점이란?

💡 1. 독점이란?한 기업만 시장에 있어서, 혼자 가격을 정할 수 있는 시장!예:우리가 컴퓨터를 쓸 때 사용하는 윈도우(Windows)→ 거의 대부분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제품이지?→ 윈도우는 다른 대체재가 거의 없고,→ 마이크로소프트만 팔 수 있어!그래서 마이크로소프트는 가격을 **스스로 정할 수 있는 ‘가격 결정자’**야.(경쟁 시장에서는 ‘가격 수용자’였던 거 기억나지?) 🚪 2. 왜 독점이 생길까? (진입장벽 3가지)원인설명예시① 자원 독점한 기업이 중요한 자원을 독점마을에 우물이 하나 → 그걸 가진 사람만 물 팔 수 있어② 정부의 허가특허나 저작권 등으로 특정 기업만 허용제약회사가 신약 개발 → 특허로 몇 년간 혼자만 판매 가능③ 자연독점한 기업이 전부 공급하는 게 가장 효율적수..

경제학 2025.03.23

과점시장, 이게 뭐야?

과점시장, 이게 뭐야?예를 들어 테니스공을 사러 갔다고 해보자.브랜드를 보면?윌슨펜던롭스폴딩→ 거의 다 이 네 회사 제품이야!이런 시장처럼, 소수의 기업만 존재하는 시장을우리는 **과점시장(oligopoly)**이라고 불러. 🏷️ 2. 완전경쟁 vs 독점 vs 과점, 뭐가 달라?시장 형태기업 수가격 결정권예시완전경쟁시장엄청 많음없음 (가격수용자)당근, 쌀, 생수 등독점시장1개완전한 가격 결정자한국전력, 수도과점시장소수(2~10개 정도)일부 가격 결정력 있음테니스공, 통신사, 항공사 등→ 과점은 중간쯤에 있어.경쟁도 하고, 어느 정도는 가격도 조절할 수 있어. 🔁 3. 과점시장의 특징 – 협력할까? 경쟁할까?과점시장에 있는 기업들은 미묘한 관계에 있어.협력하면: 서로 가격을 올리고, 생산량 줄여서 이익..

경제학 2025.03.23

독점적 경쟁시장? 그게 뭐야?

📚 1. 독점적 경쟁시장? 그게 뭐야?예를 들어, 여행 가기 전에 책 한 권 고르려고 서점에 갔다고 해보자.미스터리, 로맨스, 스릴러, 에세이 등 종류가 엄청 많아!작가도 존 그리샴, 스티븐 킹, 다니엘 스틸 등 다양하지!그런데 가격은 다 비슷한데, 어떤 책이 더 끌리는지는 사람마다 달라.이 시장은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성격을 둘 다 갖고 있어.  🏪 2. 완전경쟁 같은 점 – 경쟁이 치열하다!책을 쓰는 작가나 출판사는 아주 많아.누구나 책을 써서 시장에 진입할 수 있어.소비자는 다양한 책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이윤이 많이 생기면 다른 작가들도 뛰어들어 경쟁이 심해져.→ 자유로운 진입, 많은 경쟁자 = 완전경쟁시장 느낌! 🔒 3. 독점 같은 점 – 상품이 서로 다르다!하지만 자세히 보..

경제학 2025.03.23

노동 수요곡선의 이동 – 왜 어떤 직종에서 사람을 더 뽑을까?

💼 노동 수요곡선의 이동 – 왜 어떤 직종에서 사람을 더 뽑을까?노동 수요는 **“사람을 더 뽑을까 말까?”**를 결정하는 기업의 선택이야.이 선택은 **노동자가 얼마나 많은 돈을 벌어줄 수 있느냐(=한계생산가치)**에 따라 달라져. 📈 1. 상품 가격이 오르면? → 사람 더 뽑는다!예:사과 1개가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올랐어!→ 그럼 사과 따는 사람이 100개 딸 수 있다면,→ 원래는 10만 원 벌게 해줬는데, 이제는 20만 원 벌게 해주는 셈이야!→ 기업 입장: "오! 저 사람 쓸 가치가 두 배로 늘었네?"→ 👉 사람을 더 뽑게 돼. 노동 수요 증가! ⚙️ 2. 기술이 발전하면? → 사람 한 명당 효율 증가!예:예전에는 사과를 하루 100개밖에 못 땄는데,전동 사다리나 자동 바구니가 ..

경제학 2025.03.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