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정부가 왜 시장에 개입할까?

안전투자 달인 2025. 3. 24. 00:36
반응형

✅ 1. 정부가 왜 시장에 개입할까?

정부는 종종 이런 생각을 해:

“시장 가격이 너무 불공평한 것 같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가격을 낮추거나,
노동자들을 위해 임금을 올려야겠어!”

그래서 정부가 직접 가격을 정하는 정책을 펼치기도 해.
이런 걸 **가격 통제(Price Control)**라고 해.


 

🧊 예시 1: 아이스크림 가격상한제

🍦상황:

  • 아이스크림 하나 가격 = 3달러 (자연스러운 시장 균형)
  • 정부가 **“아이스크림 너무 비싸! 2달러로 제한하자!”**라고 함

 

💥무슨 일이 벌어질까?

사람행동이유
소비자 “헐 싸다!” 하고 많이 사려고 함 2달러는 저렴하니까
생산자 “이 가격엔 남는 게 없잖아...” 덜 만들거나 아예 안 팜 원가도 안 나와서

수요는 많고, 공급은 적음 → 아이스크림 품귀현상!
→ 줄 서야 하고, 몰래 웃돈 주고 사는 사람들 생김


 

🏠 예시 2: 임대료 상한제

🏙️상황:

  • 서울에 집세가 너무 비쌈!
  • 정부가 “월세를 30만원 이상 못 받게 하자!”

 

💥그 결과?

단기(처음엔)장기(시간 지나면)
“오 싸다!” 월세 부담 줄어듦 집주인: "이 가격에 누가 새 집 지어?" → 집 공급 줄어듦
세입자: 다들 살고 싶어 함 집주인: 유지보수도 안 함 → 집 상태도 나빠짐

→ 결과: 집은 부족하고, 낡고, 불공정하게 배분됨 😩
(예: 친한 사람만 계약 가능, 몰래 웃돈 줘야 함 등)


 

🎯 핵심 정리: 가격 상한제란?

  • 시장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을 강제로 정하는 것
  • 처음엔 “착한 정책”처럼 보이지만…
👍 장점👎 단점
소비자가 싸게 살 수 있음 공급 부족 → 줄 서기, 품질 저하, 비공정 거래
저소득층 보호 취지 장기적으로는 시장 왜곡 발생

 

✏️ 경제학자가 하는 일?

“정책을 펼치기 전에, 그게 진짜 효과 있을지 먼저 공급-수요 곡선으로 분석해보자!”

경제학자는 정책의 숨겨진 부작용을 찾아내는 사람들이야.
표면적으로는 좋아 보여도, 시장 전체가 엉망이 되는 경우를 조심해야 하거든.


 

🚦다음에 볼 주제 힌트:

  • ❓그럼 정부가 최저임금을 정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 ❓세금 부과하면 진짜 부자만 손해일까?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생산자 잉여란?  (0) 2025.03.24
시장에서 누가 이득을 보는 걸까?  (0) 2025.03.24
먼저, 이게 뭔 말일까?  (0) 2025.03.24
세금은 왜 문제가 될까?  (0) 2025.03.24
관세와 수입 할당제, 이게 뭐야?  (0) 2025.03.24